도쿄 사기꾼들 - 치밀한 준비와 조직력으로 부동산 사기를 일으키는 집단. 그들의 우두머리 지면사

타인의 부동산을 미끼로 돈을 가로채는 이들은 역할이 분담되어있다. 그들의 팀플레이는 정말 대단하다. 이렇게 치밀하게 준비하는 범죄자들을 개인이 상대하기는 어렵다. 사기를 당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도쿄 사기꾼들 - 치밀한 준비와 조직력으로 부동산 사기를 일으키는 집단. 그들의 우두머리 지면사


도쿄 사기꾼들 / 신조 고 / 이규원 / 북스피어
地面師 / Ko Shinjo 

도쿄 사기꾼들 / 신조 고 / 이규원 / 북스피어


작가 신조 고는 소년 시절 폭행과 마약 등의 범죄를 저지르고 감옥까지 갔다 왔다. 그 후 대학에 진학하고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작가는 사회의 어두운 부분을 주로 다루는데, 그의 작품은 모두 악당이 주인공이다. 악당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이런 문학 장르를 피카레스크 소설이라 한다. 영화로 보자면 [도둑들]에 해당하겠다.

피카레스크 소설 : 주인공을 포함한 주요 등장인물들을 도덕적 결함을 갖춘 악인으로 설정하여 이야기를 끌어가는 문학 장르.

[도쿄 사기꾼들]은 작가 신조 고가 부동산 사기꾼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쓴 소설이다. 자신의 과거 경험이 녹아들어 있다. 타인의 부동산을 미끼로 돈을 가로채는 이들은 역할이 분담되어있다. 그들의 팀플레이는 정말 대단하다. 이렇게 치밀하게 준비하는 범죄자들을 개인이 상대하기는 어렵다. 사기를 당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정보를 수집하고 타깃을 물색하는 도면사
소유자를 사칭할 배우를 고르고 교육시키는 수배사
서류와 인감을 만드는 위조범과 돈을 세탁하는 전문가
그리고 이들을 지휘하여 최종 계획을 수립하는 지면사.

원제목은 [지면사들]이다. ‘지면사’는 일본에서 통용되는 단어인데 국내에는 생소한 단어라서 제목을 [도쿄 사기꾼들]이라고 바꿨다. 작가는 치밀한 사기 수법을 자료조사를 통하여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 작품의 핵심이라 하겠다. 이 작품은 2024년 넷플릭스에서 드라마로 방영될 예정이다.

주인공 다쿠미는 불의의 사고로 가족을 읽는다. 모든 것을 포기하고 될 대로 되라는 식으로 살아가던 다쿠미에게 거물급 지면사 해리슨이 나타난다. 해리슨은 각종 부동산 거래 법령, 자치체 조례, 형사소송법 조문과 판례를 술술 암송할 정도로 박식하다. 해리슨은 다쿠미의 재능을 알아보고 지면사가 갖춰야 할 기술을 가르쳐주며 자신의 조직에 합류시킨다. 해리슨을 중심으로 도면사, 수배사, 위조범 등이 팀을 이뤄 대형 부동산 사기를 일으킨다. 

위험한 일, 불법적인 일을 하는 조직은 언제든 와해될 수 있다. 조직을 떠나려는 자, 배신하는 자가 생기면 해리슨은 자신의 방식으로 이를 처리한다. 다쿠미는 해리슨과 자신이 악연으로 엮여 있음을 알고 경찰에 자수한다. 오래전부터 해리슨을 잡으려 고생했던 경찰 다쓰는 은퇴를 앞두고 대형 부동산 사기사건에 투입되고, 다쿠미를 자수시킨다. 범죄자들 일부는 죽고, 잡히고, 다쿠미는 자수한다. 총괄 해리슨은 다른 곳에서 또다른 사기를 준비하는 것으로 소설은 끝난다.

우리나라의 전세사기와 각종 부동산 사기를 보면 소설과 다르지 않다. 치밀한 준비, 법령의 허술한 곳을 파고든다. 그런 노력을 사기에 쓰는 것이 이해가 안 된다. 소설의 마지막처럼 사기꾼은 완전소멸되지 않고, 다른 곳에서 제2의 사기를 준비하고 있다. 피해자는 계속 만들어지니 안타까울 뿐이다. 

작가는 부동산 사기를 비롯해서 사회의 어두운 부분을 탁월하게 그려낸 소설을 써 왔다. 각종 사기와 폭력으로 약자의 돈을 뺏는다. 일본의 사회문제를 직접 다루고 있으니 ‘사회파 미스테리’작가라 볼 수 있다. 이런 암울한 이야기가 사회 전반에 퍼져있고 피해자가 끊이지 않더라도, 이들의 범죄는 언젠가 발각되고, 법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는 ‘작은 희망’을 놓지 않는다. 그게 ‘사회정의’니까.


작가의 다른 작품 :
사회초년생을 착취하는 부동산 블랙기업을 다룬 [협소저택]
다단계 판매에 빠져드는 젊은이들을 다룬 [뉴 카르마] 
사회에서 이탈하고 마약을 팔아 연명하는 청년을 주인공으로 한 [살라레오] 


인용 :

“그러고 보니 저쪽에서는 요즘 난리가 난 것 같더군요. 지면사 때문에.”

“뭡니까, 그 지면사라는 건.”

“뉴스 못 보셨습니까. 부동산 전문 사기꾼입니다. 난리도 아닌가 봐요, 요즘. 그 세키요하우스도 백 억인지 몇 억인지를 지면사에게 털렸다고 하던데요.”

“백 억이라면 당연히 난리도 아니겠지요. 세키요하우스가 그렇게 엉성한 회사였나?”

- 365p.



취향을 설계하는 곳, 츠타야, TSUTAYA - 고객을 향한 디테일,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기

츠타야 서점의 성공은 우선 기획의 성공이었다. 좋은 기획이란 무엇인가. 기획의 본질은 고객가치, 수익성, 사원의 성장, 사회 공헌, 이 네 가지 요소를 결합시킨 것이다(173p). 

취향을 설계하는 곳, 츠타야, TSUTAYA - 고객을 향한 디테일,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기


취향을 설계하는 곳, 츠타야, TSUTAYA / 마스다 무네아키 / 장은주 / 위즈덤하우스
Masuda Muneaki 

취향을 설계하는 곳, 츠타야, TSUTAYA / 마스다 무네아키

[취향을 설계하는 곳, 츠타야]는 일본 컬처 컨비니언스 클럽(CCC) 최고경영자인 마스다 무네아키(Masuda Muneaki)가 사내 블로그에 10년간 기록한 경영일기를 선별하여 모은 것이다. CCC의 설립, 츠타야 서점의 초창기 일화, CEO의 경영 철학 등을 에세이 형식으로 게재하였다. 때로는 일기처럼 인간적인 면이 보이고, 가벼운 경영서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딱딱한 경영서적보다 많은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다. 책의 부제 ‘혁신의 아이콘 마스다 무네아키. 34년간의 비즈니스 인사이트’처럼 마스다 무네아키의 성공 비결이 담겨있다. ‘CEO와의 대화’같은 분위기다. 

츠타야(TSUTAYA) 서점에 관한 이야기를 다른 책에서도 본 적이 있다. 서점을 다룬 인문서적, 일본 여행 중에 서점에 들른 이야기를 쓴 여행서적, 경영의 한 예로 다룬 경영서적. 한 번도 안 간 사람은 있지만, 한 번만 간 사람은 없다는 곳. 인터넷 서점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오프라인 서점은 모두 경영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여전히 서점은 건재하다. 서점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컨셉의 빈약함이 문제였을 것이다. 츠타야 서점은 경영과 마케팅, 고객대응 등 배울 것이 많다. 

츠타야 서점은 일본 컬처 컨비니언스 클럽(CCC)의 전국 브랜드다. CCC는 대형 서점을 운영하는 회사가 아닌 ‘기획전문’ 회사라고 기업을 소개한다. 그 기획 중 하나가 도서, 음반 및 DVD를 대여 사업이었고, 츠타야 서점을 34년 전 35평의 작은 대여점에서 시작해 현재 일본 내 1,400개 매장을 갖춘 국민 브랜드로 성장시켰다. 츠타야 서점의 성공은 우선 기획의 성공이었다. 좋은 기획이란 무엇인가.      

기획의 본질은 고객가치, 수익성, 사원의 성장, 사회 공헌, 이 네 가지 요소를 결합시킨 것이다. - 173p.      

첫째, ‘고객 가치’가 있어 그 기획이 고객의 지지를 받을 것. 둘째, 돈을 가진 사람이 그 기획을 사고 싶게 만드는 ‘수익성’을 실현할 것. 즉 ‘팔리는 기획’일 것. 셋째, 그 기획의 실현을 통하여 사원이나 관여하고 있는 사람이 성장할 수 있을 것. 즉, 세계 최고의 기획회사가 되기 위한 일일 것. 넷째, 그 기획으로 사회가 좋아질 것. 즉 사회공헌으로서의 일이다. 이 네 가지 조건에 부합해야만 CCC는 일을 할 수 있다. 단순한 돈벌이나, 고객에게 기쁨은 주지만 회사로서는 적자인 사업, 회사는 돈을 벌지만 사원이 피폐해지는 일 같은 것은 해서는 안 된다. 서로 모순되는 네 가지 가치를 실현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 212p. 

또 하나의 성공요인을 찾자면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기’다. 고객을 만족시키는 상품, 서비스를 내놓으면 성공하게 되어 있다. 기획의 연장선에 있는 개념인데, 다른 표현을 하자면 ‘디테일의 승리’라고 해도 되겠다. 고객의 입장에서 필요한 것, 불편한 것들을 세심하게 찾아내서 제안하는 것이다. CCC의 이러한 노력은 감탄을 불러 올 정도다.      

고객이 원하는 것을 콕 집어서 제안하면 계약은 성사된다. 장사에서 그 '답'을 발견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된다. 혹은 고객의 기분으로 생각하면 된다. 쉬는 날에도, 비오는 날에도, 찜통더위에도, 아침에도, 점심에도, 저녁에도, 통근하는 고객의 기분을 이해하려고 역에서 매장까지 수차례 걷기도 하고, 무더운 날 야외에 주차했다가 시트가 뜨거워진 것을 보고 그늘이 필요하다는 생각도 했다. 에비스가든 플레이스와 롯본기 힐스에 매장을 만들 때는 그 거리의 생활을 알아야만 거리를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에 기획 담당자는 근처에 살아보기까지 했다. 그렇게 고객의 기분으로 답을 찾고 성실하게 그 답을 실현하면 고객은 찾아오기 마련이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간단한 일인데 하는 사람은 적다. - 22p. 

마스다 무네아키는 ‘경영의 본질은 실패의 허용’이니 실패를 두려워 말고 부지런히 시도하라고 조언한다. 또 성장하려면 자기 능력에 버거울만한 일을 시도해서 경험을 쌓고 성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안일함은 혁신과 거리가 멀다. 남들이 걱정하는 기획을 내놓을 혁신성이 필요하다. 사업은 결국 사람이 사람을 상대로 하는 것. 그래서 더더욱 ‘사람’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도 언급한다.
  
같은 일을 반복해서는 성장할 수 없다. 회사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나이를 먹으면 성장해야 한다. 성장이란 인간과 사회의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성장의 결과는 매출로서 나타난다. 매출은 결과인데 원인을 만들지 않고 단순히 매출만 올리려는 것은 잘못이지만, 결과로서의 매출이나 이익은 커져야만 한다. 이익이 커지는 것은 자유의 확대를 의미한다. - 109p.      

미래는 사람이 만든다는 것과 사람의 본질에서 벗어난 미래는 없다는 것이다. - 200p. 

이 책은 경영에만 머물지 않고 사회 변화, 인간적인 성숙, 일본의 미래, 사업의 미래 등등을 담고 있다. 찬찬히 읽어볼만 하다. 

같은 일을 반복해서는 성장할 수 없다. 츠타야 서점

인용 :

돈벌이가 되는 일이란 

돈벌이란, 돈을 벌고 싶어 하는 사람이 실현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적으로도 의미 있는 고객가치를 기획하여 그것을 적절한 비용으로 실현했을 때만 이익이 남는 법이다. 비즈니스는 다양한 이해관계 위에 성립한다. 

고객은 '가치'라는 관계에서 성립하고 거래처는 '거래 조건'이라는 관계에서 성립하고 사원은 '급여'라는 관계에서 성립하고 주주는 '배당'이라는 관계에서 경제적으로 성립한다. 만일 각각의 관계가 영합하고 있다면 어떻게 될까. 

고객에게 원가 이하로 물건을 싸게 팔고 사원에게 법령 이상의 높은 급여를 지급하고 말도 안 되는 거래 조건으로 사입하고 주주가 기뻐할 과감한 배당을 한다면 회사는 눈 깜빡할 새 도산한다. 

따라서 비싸도 고객이 원하는 고객가치를 기획하여, 사원이 급여 이상으로 일하고 싶어하는 회사나 일을 만들거나, 거래처가 미래의 사업 전개를 기대하여 믿고 납득해주는 조건으로 거래가 생기거나, 적은 배당이라도 투자를 해주는 미래 가치가 있는 회사를 실현했을 때만 회사는 돈을 벌고 사원은 성장하며 거래처 역시 함께 성장할 수 있다. 

'돈 버는 사업' 따윈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다. 돈을 버는 것은 그러한 노력의 결과이지 원인이 아니다. - 49p.


Things I love about May: Bee Gees, green oaks, fringe tree, and decent weather.

Things I love about May: Bee Gees, green oaks, fringe tree, and decent weather. First of May by Bee Gees.   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