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의 천장 조명. LED 면광원과 LED 라인광원 (2023.02.01.)
2년 전에 형광등을 LED 등으로 교체했다. 모두 면광원이었는데, 두 달 전에 한쪽만 라인 등으로 바꾸었다. 면광원과 라인광원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동일 출력이라면 라인조명이 조도균일도 면에서 우수하다.
![]() |
도서관 천장 LED 라인조명 |
![]() |
도서관 천장 LED 면조명 |
충남 공주시 웅진동의 회전교차로. 한 곳은 조명이 있고, 다른 곳은 없다. 회전교차로가 어두우면 야간에 사고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어두운 곳에 있는 회전교차로에 표시등만 있는 경우, 잘 보이지 않아서 위험한데 조명구조물을 세우고 밝게 비추니 시야 확보에 도움이 된다. 모든 교차로에 조명탑을 설치할 수는 없지만, 조명 유무의 효과가 확실하니 적절한 설치 방법이 필요하다. 관련 등기구 개발도 필요하다. 이와 비슷한 조명으로 횡단보도 조명이 있다. 횡단보도 부분에 집중 조명을 해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한다.
![]() |
회전교차로 - 조명 무 |
![]() |
회전교차로 - 조명 유 |
조명기구는 사용하는 용도, 장소에 적정한 밝기를 가져야 한다. 거실용, 복도용, 화장실용 등 장소마다 권장 밝기가 다르다. 인테리어용 전구는 기본 밝기만 만족하면 그다음은 외관이 중요해진다. 기본 모양은 옛 전구 형태인데, 변형을 줘서 촛불, 막대, 공 모양 등 다양하다. 어떤 모양까지 변형이 가능할까.
이런 전구를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한다면 어디에 쓸 수 있을까. 조명용으로는 사용하지 못한다. 책을 읽거나 작업을 하기엔 밝기가 어둡고, 장시간 바라보면 눈이 피로해진다. 카페 내부의 인테리어나 경관조명용이 적합하다.
![]() |
인테리어용 LED 전구 |
![]() |
인테리어용 LED 전구 |
![]() |
인테리어용 LED 전구 |
백열전구와 형광등이 퇴출되었고, 그 자리를 LED 램프가 대신하고 있다. LED를 이용한 조명기구는 천장에 매립하는 면광원이 대표적인데, 옛 백열등 모양의 전구도 생산하고 있다. 인테리어용 LED 전구는 안에 필라멘트 모양의 LED를 설치하였다. 불을 켜면 옛 전구를 보는 것 같다. 조명으로 쓰기엔 좀 적절하지 않지만 인테리어용으로는 제격이어서 카페 같은 곳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
LED 전구 |
![]() |
LED 전구 |
![]() |
LED 전구 |
Things I love about May: Bee Gees, green oaks, fringe tree, and decent weather. First of May by Bee Gees. I've...